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소년을 위한 물리 입문서 <아빠 물리가 뭐예요>

에듀스킬

by 스터디스킬 2024. 2. 21. 11:43

본문

728x90
반응형

이 책은 물리학을 어려움 없이 이해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을 위한 특별한 안내서입니다.

 

청소년을 위한 쉬운 물리 입문서

저자는 아이들이 과학을 더욱 흥미롭게 느낄 수 있도록, 아빠인 물리학자와 호기심 많은 딸이 함께하는 대화 형식으로 책을 구성했습니다. 물리학의 발전과 현대 물리학의 이론인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다루면서도, 복잡한 개념들을 친근하고 생동감 있게 전달합니다. 이 책을 통해 세상의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키며, 물리학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은 청소년들을 위한 흥미진진한 물리학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물리를 배우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항상 호기심을 가지고 사물을 바라보는 눈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왜 그럴까?'라는 질문을 많이 하면 할수록 전에는 알지 못했던 신기한 것이 보이고, 이해되지 않는 것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던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호기심만 가진다고 모든 물리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건물을 지을 때 기초공사를 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세울 수 없는 것처럼, 물리도 호기심이란 기초가 없으면 그 위에 물리학이라는 건물을 세울 수 없습니다. 이 책은 어려운 개념들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내기 위해 노력하며, 아이들의 호기심 어린 질문과 이해하기 쉬운 대답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과학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여는 첫걸음으로서 실생활에서의 물리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습니다. 물리는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을 이해하는 학문으로, 이를 통해 우리는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아빠 물리가 뭐예요> 차례

차례 소제목만 봐도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지 얼추 짐작이 되는데요, 여기 나와 있는 내용으로 볼 때 다양한 소재의 물리 지식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장 _ 헷갈리네! 도대체 뭐가 진짜야?
2장 _ 보이는 눈과 보이지 않는 눈
3장 _ 물리학엔 어떤 것이 있을까?
4장 _ 물리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5장 _ KTX는 빨리 달리고 싶다?!
6장 _ 빛이 공기보다 작다고?
7장 _ 달, 달, 무슨 달?
8장 _ 어? 색이 왜 이러지?
9장 _ 제발 정리 좀 해!
10장 _ 잠수를 탔다고?
11장 _ 우주는 어둡다? 다크(Dark)~
12장 _ 맨눈으로 그게 보이니?
13장 _ Iot가 아니라 Pot(Physics of Things)라고요?
14장 _ 물리는 아름답다?!!

 

 

책의 구성

이 책은 다음과 같이 대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리스 시대의 철학자들은 왜 이렇게 근본 물질에 관심이 많았을까요?

아빠도 늘 그게 궁금했어. 많은 그리스 철학자들이 세상의 근본에 대해 탐구했지만, 그게 나와 무슨 상관이 있는지 도통 알 수 없었거든. 하지만 생각해보렴. 학교에서 배웠겠지만, 고대 그리스 이전에도 놀라운 문명이 많이 있었단다. 수메르 문명, 바빌로니아 문명, 이집트 문명, 황하 문명 등. 이 문명들은 그리스가 훨씬 전부터 존재했지. 탈레스와 피타고라스도 최고의 지식을 배우기 위해 이집트로 유학을 갔을 정도란다. 그러니 당연히 세상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하지 않겠니?

 

보름달이 막 뜰 때는 굉장히 크게 보이는데, 막상 하늘로 올라가면 작게 보이는 이유는 뭐예요? 그것도 사실과 다른 건가요?

과학이란 단순히 눈에 보이는 것을 믿는 게 아니란다. 정확한 측정을 기반으로 검증되어야 하지. 먼저, 달까지의 거리를 생각해 볼까? 보름달이 막 뜰 때와 가장 높은 각도에 올라갔을 때를 비교해보면, 가장 높은 각도에 올라갔을 때가 오히려 지구 반지름만큼 달에 더 가깝단다. 그런데 더 작게 보인다는 것은 이상하지? 이것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 

 

음,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보면 어떨까요? 달이 동쪽에서 딱 뜰 때와 높이 올라갔을 때의 사진을 찍어서 비교해 보는 거예요.

좋은 생각이구나. 실제로도 그런 방법으로 크기를 비교한단다. 그렇게 사진으로 비교하면 달이 뜰 때는 위아래가 찌그러져서 오히려 더 작아 보이니까 그 주장이 사실이 아닌 것이 명확해지지. 

 

이런 식으로 대화가 진행되면서 궁금증을 풀어 나갑니다. 

 

 

과학 실험 관련 사이트

 

과학 실험해 보는 사이트 링크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