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취도란?

에듀스킬

by 스터디스킬 2022. 6. 8. 20:54

본문

728x90
반응형

학업성취도에 대하여

교과목 성적만이 아니라 학습자가 가진 특성, 학습과제의 종류와 성질, 교사가 행하는 수업방법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소산이다. 

 

학업의 결과로서, 그리고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과정으로서 교과목 성적만이 아니라 학습자가 가진 특성, 학습과제의 종류와 성질, 교사가 행하는 수업방법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소산/학업성취도는 학업성취라고도 부른다. 학업성취도를 개별학생과 그를 둘러싼 여러 변인에 따라 복합적으로 결정된다. 정범모과 이성진은 학업성취도를 개별학생과 그를 둘러싼 여러 변인에 따라 복합적으로 결정된다. 정범모와 이성진은 학업성취도는 학습자 요인, 수업 요인, 환경 요인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Walberg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학생적성, 학습지도, 사회심리학적 환경으로 분류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학업성취도 [academic achievement, 學業成就度]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성취도검사

[ 成就度檢査 , achievement test음성듣기 ]

훈련이나 학습을 받은 후에 개인이 지니고 있는 지식이나 수행능력의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학력검사라고도 한다. 성취도검사는 현재의 학력수준이나 수행능력의 정도를 알려줄 뿐 아니라, 그 동안 학습된 진보의 정도를 알려주고, 다른 사람과의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 학교에서 실시하는 교과시험의 대부분이 대표적인 성취도검사로 성취도검사의 결과는 개별학생들의 학업능력의 강점과 약점을 알려주는 데 사용되거나, 특정 능력을 인정하는 자격증을 부여하거나, 진급이나 진학을 결정할 때 사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성취도검사 [成就度檢査, achievement test] (교육심리학용어사전, 2000. 1. 10., 한국교육심리학회)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